지난해 11월 26일 서울 여의도
페이지 정보

본문
김문수(오른쪽에서 두 번째)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개최된노동약자지원법 입법 발의 국민 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해당 법안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5월 13일 민생토론회에서 첫 제안한 것이다.
세대를 위한노동개혁을 지속 추진한다.
노동약자를 위한 정책지원은 강화하되 기업의 일자리 창출력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또노동약자지원법 국회 논의를 지원하고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진행한다.
고용노동부는 10일 이러한 내용.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일 "민생 안정과노동약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흔들림 없이 역할과 사명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비부머 은퇴 시기가 도래한 만큼 "1분기부터 직접 일자리를 신속하게 집행하겠다"고도 했다.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 안정에 전력을.
김 장관은 1일 신년사를 통해 “올해는 트럼프 2기 출범으로 인한 세계 통상환경 변화, 국내 정치 상황의.
노동현장에서 겪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골자로 하고 있다.
국민의힘노동전환특별위원회는 지난 11월 입법발의 대국민 보고회를 열고 법안 초안을 만들어 발표한 바 있다.
탄핵정국으로 인해 관련 논의는 진척이 없는 상황이지만,노동약자.
서울 성북구의 한 도로에서 폐지 줍는 노인이 폐지를 리어카에 싣고 가던 중 길가에 앉아 쉬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노동약자보호망을 지속 확충하고 근로자 역량개발 지원을 강화한다.
저소득, 노인, 장애인 등약자맞춤형 지원도 확대한다.
수밖에 없을까? 기댈 곳이 없어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힘이 되기 위해 이제는 ‘국가’가 나서려고 한다.
‘국가’가 나서서 ‘노동약자’들의 눈물을 닦아주고 희망을 줘야 한다.
그래야노동시장의 아랫목과 윗목이 모두 따뜻해져 함께 성장하고 더 나은 사회가.
상실해, 현 정부 들어 역점적으로 추진해오던노동개혁도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특히 윤 대통령이 올해 들어 강조하던 '노동약자' 지원 입법은 기약 없는 상태가 됐고, 정년연장 문제 등 노사정이 합의 중인 사안들은 임기 내 합의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사회적 대화를 통해 계속고용 및 일·생활 균형 과제를 중심으로 노사정 공감대를 형성하고, '반도체 특별법' 제정 및 '노동약자지원법'에 대한 국회 논의를 지원한다.
아울러 관계부처 등과 1분기 내 110만개의 직접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신속한 취업을 지원.
추세 반전을 위한 육아지원제도도 대폭 확대한다.
고용부는 10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노동약자지원법 제정…상반기 중 퇴직연금 활성화 방안 마련 우선 고용부는 지난해 12월31일 국회에 발의된 '노동약자지원법'의 법제화.
- 이전글4일 오전 서울 은평구 서울서부경 25.01.10
- 다음글범죄수사처(공수처)가 3일 오전 윤 25.01.10